MVP란?

저는 Baseline, 프로토 타입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합니다.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MVP)는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최소한의 기능(features)을 구현한 제품이다. 출처: 위키 백과

완성도 낮은 최소 기능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모으는데 주로 사용된다.

Untitled

주로 스타트업 개발 문화에 정착된 방법론이다.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만큼 빠르게 개발해 두고 피드백을 통해 유저에게 친화적인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위의 그림을 보면 제품이 4단계에 걸처서 만들어진다. 각 단계는 Functional(기능) - Reliable(가능성) - Usable(편리성) - Empathic Design(유저 중심 디자인)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이 4가지 단계를 차례대로 진행한다고 하면 1년 정도가 걸린다고 하자. 1년 뒤에 시장에서 반응이 미미하면 1년이라는 시간을 날리는 손해를 봐야한다. 하지만 한달 안에 MVP를 만들고 유저 피드백을 받는다면 성공할 지 실패할 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최소 품질 테스트

Untitled

MVP를 설계하려면 실행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일수록 성공적인 MVP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어떤 test를 진행할 지 미리 체크리스트를 만들면 목표를 차례대로 세울 수 있다.